[BOJ 2419] 사수아탕
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419
풀이
사탕을 왜 저렇게 좋아하는 거야
가로등 끄기를 풀고 엄청 비슷한 문제인 줄 알고 만만하게 봤다.
하지만 괜히 두 티어나 차이 나는 게 아니었다.
위 문제와의 차이점은 사탕은 줄어들고, 낭비되는 전력량은 늘어난다는 점이다.
그냥 총 사탕의 개수에서 줄어든 양을 빼면 될 줄 알았는데, 사탕이 0개가 되면 더 줄어들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오답이 된다.
조금 더 자세히 얘기해보면, 가로등 끄기 문제에서는 꺼버린 가로등 좌표의 lower bound, upper bound와 현재 위치가 주어졌을 때 부분 문제가 성립한다.
가로등은 끄기 전까진 전력이 계속 소모되기 때문에 한시라도 빨리 가서 꺼야 되기 때문이다.
그런데 이 문제에서는 획득한 사탕바구니 좌표의 lower bound, upper bound와 현재 위치가 주어져도 부분 문제가 성립하지 않는다.
사탕 바구니의 사탕이 동나면 그곳엔 갈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.
그러므로 현재까지 이동한 거리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인데, 어떤 식으로든 파라미터를 하나 더 추가하면 TLE나 MLE를 받을 것이다.
몇 시간을 고민해도 풀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구글링을 슬쩍했더니 기가 막힌 방법이 설명돼있었다.
‘주울 사탕 바구니의 개수 K를 고정하고 K = 1~N에 대해서 최댓값을 구하라’
다시 봐도 정말 기가 막히다.
일단 시간 복잡도가 O(N ** 3)이라서 TLE는 나지 않는다.
저 방법이 유효한 이유는 사탕을 최대로 먹는 솔루션이 K개의 사탕 바구니를 지난다고 할 때, 주울 사탕 바구니의 개수를 K로 픽스하고 최댓값을 탐색할 때 무조건 정답이 나오기 때문이다.
이해하면 당연하지만, 사탕바구니 속 사탕의 개수가 음수가 되지 않기 위해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을 완전히 대체했다.
이런 걸 생각해내는 게 진짜 실력 아닐까 싶다.
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, temp;
vector<int> candy;
int f(int i, int j, int flag, int k, int dp[][300][2]) {
int visit = j - i + 1;
if (visit == k) {
return 0;
}
if (dp[i][j][flag]) {
return dp[i][j][flag];
}
int cur = 0;
if (flag) cur = candy[j];
else cur = candy[i];
int res = 300000000;
if (i > 0) {
res = min(res, f(i - 1, j, 0, k, dp) + (cur - candy[i - 1]) * (k - visit));
}
if (j < n - 1) {
res = min(res, f(i, j + 1, 1, k, dp) + (candy[j + 1] - cur) * (k - visit));
}
dp[i][j][flag] = res;
return res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NULL); cout.tie(NULL);
cin >> n >> m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in >> temp;
candy.push_back(temp);
}
sort(candy.begin(), candy.end());
int ans = 0;
for (int k = 1; k < n + 1; k++) {
int dp[300][300][2];
for (int x = 0; x < 300; x++) {
for (int y = 0; y < 300; y++) {
dp[x][y][0] = 0;
dp[x][y][1] = 0;
}
}
if (candy[0] > 0) {
ans = max(ans, k * (m - candy[0]) - f(0, 0, 0, k, dp));
}
else if (candy[n - 1] < 0) {
ans = max(ans, k * (m + candy[n - 1]) - f(n - 1, n - 1, 0, k, dp));
}
else {
for (int x = 0; x < n; x++) {
if (candy[x] == 0) {
ans = max(ans, k * m - f(x, x, 0, k, dp));
break;
}
if (candy[x] > 0) {
ans = max(ans, k * (m - candy[x]) - f(x, x, 0, k, dp));
ans = max(ans, k * (m + candy[x - 1]) - f(x - 1, x - 1, 0, k, dp));
break;
}
}
}
}
cout << ans;
return 0;
}
완벽하다고 생각한 로직으로 구현한 파이썬 코드는 TLE가 났다.
더 최적화가 가능했겠지만 멘탈이 남아나질 않아 익숙지도 않은 C++로 구현했다.
Leave a comment